카테고리 없음

뮤지컬 음악감독 되기까지 국내외 최고 명인 김문정

방금 전. 2024. 1. 15. 06:55
반응형

뮤지컬 음악감독이 되려면 일단 음악을 할 줄 알아야 합니다. 음악을 할 줄 알려면 음악학원을 다녀야 하고 집에 악기가 있어야 합니다. 그렇게 뮤지컬 음악감독의 발판을 어릴 때부터 환경을 만들어야 뮤지컬 음악감독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뮤지컬 음악감독이 되기까지 뮤지컬 음악감독 김문정 씨의 일대기를 통해 어떻게 뮤지컬 음악감독이 됐는지 정확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뮤지컬 음악감독이 되려면 어떤 학과를 가야 하나요?

뮤지컬 음악감독이 되려면 명문대 혹은 각 대학별에 속해있는 실용음악학과나 지휘를 할 수 있는 음악학과를 가면 됩니다. 결국 지휘지가 돼야 하는 게 뮤지컬 음악감독입니다. 그렇기에 음악과 관련된 학과를 가야하는데요. 김문정 씨는 서울예대 실용음악학과에 진학해서 뮤지컬 음악감독 아래에 피아노 세션을 했습니다. 그렇게 뮤지컬 음악에 경력을 막내부터 차근이 쌓아 뮤지컬 인맥을 만들어 지휘자까지 전문 교육을 안내받아 지휘자가 될 수 있었습니다. 대부분 음악감독들은 클래식 전공생이거나 실용음악학과 출신입니다.

반응형

뮤지컬 음악감독이 하는 일은 무엇인가?

뮤지컬이 관객 앞에 서기까지는 정말 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협력이 필요한 복잡한 과정을 거칩니다. 이 과정은 극작가가 이야기를 만들고, 작곡가가 그에 어울리는 음악을 만드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스토리와 음악은 연출가와 음악감독의 손을 거쳐 무대 위에서 생명을 얻게 됩니다. 연출가는 이야기를 어떻게 무대에서 표현할지를 고민하고, 음악감독은 각 장면에 맞는 음악을 선정하고 편곡합니다. 무대의 크기에 따라 필요한 악단의 규모를 결정하고, 작곡가와 협력하여 음악을 수정하거나 조정하기도 합니다. 음악의 기본 구조가 완성되면, 안무가가 참여하여 무대 위의 움직임을 설계합니다. 음악과 안무가 조화를 이루도록 지속적인 수정과 조정이 이루어집니다. 이 과정을 거치고 나면, 세트와 조명이 최종적으로 정해지고, 기본적인 준비가 마무리됩니다. 이후에는 음악감독이 배우들을 캐스팅하고 본격적인 연습에 들어갑니다. 대략 6~7주 동안의 연습 기간 동안, 배우들은 피아노 반주에 맞춰 노래와 연기를 연습합니다. 음악감독은 배우들의 노래 연습을 지도하고, 안무감독은 안무 연습을 진행합니다. 주요 배우들은 연기 연습도 병행합니다. 연습 과정에서 배우들은 스스로 부족한 점을 파악하고 개선해 나갑니다. 음악감독은 이때 악단과의 연습에 집중하여 음악을 완성도 있게 다듬습니다. 약 3주간의 연습 후, 배우들과 악단이 함께하는 '시츠프로브'가 진행됩니다. 이때 배우들은 처음으로 악단의 반주를 듣고, 악단은 노래를 반주하면서 작품의 음악이 완성됩니다. 시츠프로브를 통해 발견된 문제점들을 수정하고, 개막 전까지 지속적으로 연습을 이어나갑니다. 이러한 복 잡한 과정을 거쳐서 마침내 관객들이 감상하는 뮤지컬이 완성되는 것입니다.

뮤지컬음악감독

대학을 졸업하고 뮤지컬 분야에 진출하려는 친구들이 자주 조언을 구해오곤 해요. 많은 이들이 음악에만 집중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뮤지컬에서는 드라마가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설명해주고 싶어요. 음악감독으로서 다양한 음악 장르를 배우고, 깊게 이해하며, 여러 해석을 할 수 있는 능력은 필수적이죠. 또한 다양한 악기를 연습하는 것도 중요해요. 여러 악기를 다룰 줄 알면 오케스트라나 밴드와의 소통이 더욱 원활해지고 편곡에도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극에 대한 공부와 각본의 이해예요. 드라마를 통해 배우의 감정이 어떻게 형성되고 관객에게 전달되는지, 그 과정에서 음악감독의 역할이 무엇인지 깊이 있게 생각해야 합니다. 뮤지컬 음악감독으로서는 드라마를 분석하고 그 내용을 음악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제안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예고를 꼭 가야 하나요?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 많은 10대 학생들은 고등학교를 예고 가야 뭐 되는 줄 아는데 대학을 좋은 델 가야 뭐라도 됩니다. 예고에서는 아이돌이나 데뷔하는 게 잘 될 지도 모르나 그 이상 별개 없습니다.

학업을 더 중시해야 하나요?

학생이 공부를 잘하면 그만큼 넓은 세상을 가는 건 당연합니다. 공부가 인생의 다가 아니라는 자조적 자기 합리화에 빠지지 마세요. 공부가 인생에 전부가 아니라고 말하는 사람이 선택할 수 있는 직업은 한정적입니다. 기회 또한 제한적입니다. 정말 자신의 꿈을 제대로 실현시키고 싶다면 기성세대가 수십년간 연구한 교육에서 인정 받는 게 당연한 것입니다. 여러분이 아무리 대단한 척을 해도 결국에는 본인보다 이미 명성을 얻은 기성세대 어른 혹은 좋은 스승의 인정을 받아야 유명해지는 거지 여러분 스스로가 대단해질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습니다. 학생은 공부에 두각을 나타내세요. 그리고 음악적 소양 또한 뛰어나야 하니 잘 다루는 악기는 뚜렷하게 있어야 합니다.

반응형